2009년 7월 26일 일요일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 정리

1. 금리는 채권가격에 반비례

 금리 = 은행이자

금리가 올라가면 은행에 투자 증가 ==>   채권수익율 감소 = 채권을 내다 팔 가능성

2. 채권 금리가 상승  =  실물자산의 가치가 하락 = 투자 심리 위축

   
3. 채권 금리 하락 --> 채권 수익률 상승 =  투자 심리 호전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거라는 기대 심리 때문에 이자율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는 투자자는 금리가 올라가고 채권 가격은 떨어질것이라고 생각 한다.
투자자는 채권을 내다 팔게 된다. 채권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라는 오래된 원칙에 따라 오르고 내린다. 
어쨌던 채권을 내다 팔게 되면 금리는 오르고 채권가격은 떨어지게 된다.
장기 국채의 경우 그러하다. 이자율이 8~10% 오르면 투자자는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사들이기 시작한다.
겨우 10% 안팎의 수익을 내기 위해 주식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금리가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 한다면 장기 국채나 장기 국채가 편입된 펀드에 투자 하면 될것이다.
금리가 오를 것으로 생각 하면 장기 채권은 피하고 단기 채권 아니면 MMF 투자 하는 것이 좋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가격은 오르고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떨어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에버노트에서 원노트로 데이터 옮겨오기

에버노트를 무료로 이용하려면 한달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용량이 60M 밖에 되지 않습니다. 원노트도 에버노트만큼 기능이 개선되었고 무엇보다도 무료로 사용 할 수 있고 용량의 제약이 없어서 최근에는 업무 및 정보 수집 용도로 에버노트를 이용중입니다...